■ 박주근 / CEO스코어 대표<br /><br />[앵커]<br />매주 목요일, 한 주간의 재계와 주요 CEO 동향 살펴보는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의 재계 이슈는 단연 삼성그룹의 전경련탈퇴 선언일 텐데요.<br /><br />지난 6일 삼성전자가 공식 탈퇴원을 제출하면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사실상 붕괴 수순에 접어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회원사들은 '정경유착의 창구'로 지목된 전경련 회의 참석 자체에 부담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4대 그룹 가운데 LG는 이미 지난해 12월 전경련에 탈퇴하겠다고 공식 통보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SK도 최태원 회장이 지난해 국회 청문회에서 탈퇴 의사를 밝힌 이후 회비 납부를 하지 않는 등 사실상 전경련 활동을 접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그룹도 공식적으로 탈퇴 의사를 밝히지는 않지만 이전 같은 활동은 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다만 롯데·포스코·한화·한진·CJ그룹은 전경련의 쇄신 방향을 좀 더 지켜본 뒤 향후 행보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전경련 회원사는 총 600여 개이지만 연간 전체회비 492억 원 가운데 삼성, 현대차, SK, LG 등 4대 그룹의 비중이 80%에 육박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삼성의 15개 계열사가 내는 회비는 총 133억 원으로 전체 회비의 4분의 1이 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삼성그룹은 회비를 많이 내기도 하지만 전경련과의 인연은 다른 그룹과 달리 각별하지 않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박정희 전 대통령이 부정축재를 이유로 기업인들을 구속하자 이를 막기 위해 고 이병철 회장이 '국가 산업정책에 협조하겠다'며 '경제재건촉진회'라는 이름으로 전경련 설립을 주도합니다.<br /><br />경제 성장기에 재계의 입장을 대변했지만, 전두환 대통령 때 일해재단 자금,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 모금, 1997년 세풍사건, 등에 연루되면서 비판도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56년이 지난 지금, 결자해지라도 하라는 듯이 지금 박정희 전 대통령과 고 이병철이 주도해서 만든 단체를 두 후손이 주도해서 해체하는 모양새가 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전경련 탈퇴 외에도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12월 청문회에서 약속한 '미래전략실' 해체에 대한 방안도 이번 주에 발표가 됐는데요, 미래 전략실 해체,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사실 삼성 미래전략실은 과거 회장 비서실을 모태로 합니다.<br /><br />이병철 창업주 회장과 이건희 회장 초기 시절 핵심 참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20915490177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